아두이노 기초 - 아두이노 IDE란(사용법)
안녕하세요, 고고메이커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두이노 IDE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떤 기능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이 긴 관계로, 2편으로 나눴습니다.
아두이노 IDE 소개
아두이노 IDE 를 소개하기 앞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업로드하다: 아두이노에 코드를 올리다. 즉, 아두이노에 작성한 코드를 올리는 것입니다.컴파일하다: 사람이 쓴 코드를 아두이노가 알아들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을 컴파일(confile)이라고 합니다. 컴파일을 하기 위해서는 컴파일러가 필요합니다.스케치: 아두이노 IDE에서 작성한 코드(파일)을 스케치라고 부릅니다.
아이콘설명
IDE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아이콘은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verify라는 설명이 나옵니다(verify: 검증하다). 코드를 컴파일하는 기능을 합니다.
단축키 Ctrl + R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아이콘은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upload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코드를 아두이노로 보내는(아두이노에 업로딩하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코드 업로드 전에 자동으로 컴파일을 한 번 합니다.
단축키 Ctrl + U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아이콘은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new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아두이노 IDE 창을 하나 더 띄워 주는 기능을 합니다.
단축키 Ctrl + N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아이콘은 가져다 대면 open이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내장된 예제 또는 컴퓨터에 저장된 스케치를 여는 기능을 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였을 때 이런 창이 뜹니다.
Open... 은 컴퓨터의 파일을 여는 것입니다.
Libraries 는 라이브러리의 예제파일을 여는 것입니다.
밑의 숫자로 나열되어 있는 것들은 아두이노의 기본 예제파일을 여는 것입니다.
이 아이콘은 가져다 대면 save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말 그대로 스케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축키 Ctrl + S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아이콘은 가져다 대면 Serial Monitor 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시리얼 모니터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시리얼 모니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른 글로 설명하겠습니다.
전체적인 구조
1 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태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컴파일 및 업로딩 할 때에 정보가 이곳에 뜹니다.
2 에 해당하는 부분은 코드를 적는 곳입니다.
3 에 해당하는 부분은 위에서 설명드린 부분이니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4 에 해당하는 부분은 아두이노IDE의 탭에 대한 부분입니다.
https://luftaquila.tistory.com/9
이 두 글에서 잘 다루어 놓았으니, 기능이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써놓고 보니 무언가 부족한 듯한 글인것 같습니다.이 글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은 하나하나 나누어서 글로 적을 것 같습니다.지금까지 아두이노IDE의 기능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다음 글에서도 알찬 지식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만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