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고메이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의 기초적인 사용법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아두이노를 컴퓨터에 연결시켜서 아두이노에 있는 LED를 깜박이게 하는 것 까지 해 봅시다.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들은 지금 당장 아두이노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작동을 하게 하고 싶으시겠지만, 아쉽게도 바로 작동이 되지는 않습니다.
우선, 컴퓨터에 *아두이노IDE를 깔아야 합니다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약자로 통합 개발 환경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위키백과)
어려워 하지 마시고 천천히 같이 해 봅시다.
1. 아두이노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2. 아래의 사진처럼 software -> downloads를 클릭한다.
3. 아래의 사진과 같은 페이지가 나왔다면, 빨간색 동그라미 쳐져 있는 부분을 클릭하여 아두이노IDE 설치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4. 더 나은 아두이노를 사용할 수 있게 아두이노에 후원을 해 주고 싶다면, 원하는 금액만큼 후원하고 다운로드 하시면 되고, 그냥 다운받고 싶으신 분은 just download 하시면 됩니다.
5. 설치파일이 다 다운로드 되었으면,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아두이노 IDE를 설치합니다.
(사진은 제 상황상 찍지는 못하였습니다)
중간에 흰색 창이 뜨면서 뭘 설치하시겠습니까라고 묻는데, OK 하시고 모든 것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게 컴퓨터가 아두이노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드라이버입니다. 혹시라도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다면 컴퓨터에서 아두이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6. 아두이노IDE를 실행시킵니다.
그리고 나서 켜지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모양이 나올 것입니다(전 다크테마를 적용시켜 놓아서 화사하게 빛나는 여러분들의 IDE와는 다르게 생겼습니다.)
이제 절반이 끝났습니다!!!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아두이노를 작동시켜보자구요~
혹시라도 아두이노를 사실 때, 호환보드 종류 중 CH340&CH341 계열을 구매하셨다면 드라이버를 따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 계속~~
1. 파일 - 예제 - 01.Basics - Blink를 클릭해 줍니다
2. 이제 아두이노의 포트를 잡아준다.
(아두이노는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그 통신을 위한 포트를 설정하는 것이다.)
2-1. 윈도우 검색창에 장치 관리자라고 검색한다.
'Ard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아두이노 가변저항 사용 (0) | 2021.02.12 |
---|---|
3. 아두이노 LED 제어 (1)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