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하다: 아두이노에 코드를 올리다. 즉, 아두이노에 작성한 코드를 올리는 것입니다.컴파일하다: 사람이 쓴 코드를 아두이노가 알아들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을 컴파일(confile)이라고 합니다. 컴파일을 하기 위해서는 컴파일러가 필요합니다.스케치: 아두이노 IDE에서 작성한 코드(파일)을 스케치라고 부릅니다.
아이콘설명
IDE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verify
이 아이콘은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verify라는 설명이 나옵니다(verify: 검증하다). 코드를 컴파일하는 기능을 합니다.
단축키 Ctrl + R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proad
이 아이콘은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upload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코드를 아두이노로 보내는(아두이노에 업로딩하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코드 업로드 전에 자동으로 컴파일을 한 번 합니다.
단축키 Ctrl + U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ew
이 아이콘은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new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아두이노 IDE 창을 하나 더 띄워 주는 기능을 합니다.
단축키 Ctrl + N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open
이 아이콘은 가져다 대면 open이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내장된 예제 또는 컴퓨터에 저장된 스케치를 여는 기능을 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였을 때 이런 창이 뜹니다.
Open... 은 컴퓨터의 파일을 여는 것입니다.
Libraries 는 라이브러리의 예제파일을 여는 것입니다.
밑의 숫자로 나열되어 있는 것들은 아두이노의 기본 예제파일을 여는 것입니다.
save
이 아이콘은 가져다 대면 save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말 그대로 스케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축키 Ctrl + S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erial Monitor
이 아이콘은 가져다 대면 Serial Monitor 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시리얼 모니터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시리얼 모니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른 글로 설명하겠습니다.
전체적인 구조
전체적인 구조
1 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태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컴파일 및 업로딩 할 때에 정보가 이곳에 뜹니다.
IDE란 통합개발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을 뜻하는 약어입니다. 즉 내가 개발을 할 때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다 모아둔 환경이라는 것이죠. 아두이노를 개발할 때 필요한 각종 기능들을 한데 모아둔 소프트웨어를 아두이노 IDE라고 이야기합니다.
아두이노 IDE를 왜 사용하는가?
이유는 단순합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 아두이노ID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아두이노를 사양하는 방법은 아두이노IDE를 제외하고도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IDE가 가장 편하기에 저 또한 IDE의 사용을 추천합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아두이노 IDE'(이하 IDE로 표기)를 사용해 보러 갈까요?
IDE 설치하기
*본 블로그는 Windows 10 기준으로 설명을 드립니다. 타 OS에서는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define LED1 3
void setup() {
//아날로그 출력은 OUTPUT 설정 안 하셔도 됩니다.
}
void loop() {
for(int i = 0; i < 255; i++) { //i가 255가 될 때 까지 반복
analogWrite(LED1, i); //LED1의 출력값을 i로 설정
delay(10);
}
for(int i = 255; i > -1; i--) { //i가 -1이 될 때 까지 반복
analogWrite(LED1, i); //LED1의 출력값을 i로 설정
delay(10);
}
}
위에 코드에서, i > -1 이렇게 한 이유는 확실하게 LED를 끄기 위해서 입니다.
이 코드를 실행시키면, LED가 천천히 밝아졌다 꺼질 겁니다.
작동영상... 은 없습니다 ㅜ
실습4-응용해보기2
어때요~ 여러분, 작동이 잘 되셨나요?
마지막으로 우리가 저번에 배웠던 아날로그 출력(PWM)을 이용한 작은 LED파도타기를 만들어 볼까 해요.
준비물 :
아두이노 UNO보드 · · · · · · · 1개
220Ω(또는 330Ω) 저항 · · · · · 3개
아무 LED · · · · · · · · · · · · 3개
MM 점퍼선 · · · · · · · · · · · 4개
아날로그 출력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PWM핀에 LED를 꽂아야 하는 점, 잊지 마세요!
회로는 이렇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입니다.
#define LED1 3
#define LED2 5
#define LED3 6
#define WAIT 5 //LED가 밝아지는 속도
void setup() { //처음에 켜지는 효과는 1번만 필요하니까
for(int i = 0; i < 255; i++) {
analogWrite(LED1, i);
delay(WAIT);
}
}
void loop() {
for(int i = 0; i < 255; i++) {
analogWrite(LED1, 255-i); //LED가 점차 꺼지는 효과
analogWrite(LED2, i);
delay(WAIT);
}
analogWrite(LED1, 0);
for(int i = 0; i < 255; i++) {
analogWrite(LED2, 255-i); //LED가 점차 꺼지는 효과
analogWrite(LED3, i);
delay(WAIT);
}
analogWrite(LED2, 0);
for(int i = 0; i < 255; i++) {
analogWrite(LED1, i);
analogWrite(LED3, 255-i);
delay(WAIT);
}
analogWrite(LED3,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