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고메이커 입니다.
*시작에 앞서, 한글시계의 원작자님은 이호민 님입니다.
*제가 공유하는 모든 파일과 자료들을 개인 블로그에 올리시거나 무단 복제&도용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글의 내용이 많아 총 5편으로 나누었습니다
서론-
이번 글에서는 한글시계의 전체 디자인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디자인은 크게 4파트로 나눠 작업을 하였습니다.
1. 한글시계 판 디자인
2. 한글시계 내부 디자인
3. 한글시계 외부 케이스 디자인
4. 한글시계 받침 디자인
이 모든 것들을 설계하고 고치고 설계하고 고치고....
대락 한 달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한 번 어떻게 하였는지 보러 가시죠~
본론-
0. 전체적인 설계의 방향
다음 글에서 자세하게 얘기하겠지만, 저는 네오픽셀 스트립을 이용하여 시계의 불이 켜지는 것을 구현하였습니다. 그렇기에 네오픽셀 스트립의 네오픽셀칩 간격에 맞춰 불이 켜져야 하는 한글시계의 간격이 정해져야 했는데요,
이 간격을 바탕으로 한글시계 배치 디자인의 수치는 결정되었고, 나머지 파트는 그냥 끼워맞추기 식으로(...) 만들었습니다.
각 부품들의 경우
한글시계 판은 3T MDF 레이저 커팅
외부 케이스, 내부 부품은 3D 프린팅
받침대는 3D 프린팅
으로 제작하였습니다.
1. 한글시계 판 디자인
아마 가장 까다로운 부분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한글시계의 6*6 배열을 만드는 것이었는데, 각각의 한글을 간격을 맞추어야 했고, 그러면서 최대한 크기는 작게 하려고 했습니다.
제가 사용한 네오픽셀 스트립의 네오픽셀칩 간격은 16.7mm, 그러므로 각 글자들의 간격도 16.7mm에 근접한 17mm로 설계하였습니다.
우선, 한글의 배열 같은 경우,
1: 17mm로 격자로 그린 후에,
2: 각각의 칸 안에 글자를 생성하고,
3: 글자를 정 중앙에 위치시킨 후,
4: explode를 한 다음에
5: 물 마시고 화장실 갔다 와서
6: 레이저 커팅하였을 때 글자가 제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바깥과 이어 준다(ㅇ의 경우 레이저 커팅하면 ㅇ 내부가 잘려나가기에, 바깥과 이어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끝입니다...
그리고, 한글시계 프로그램에서 위로해주는 문구가 나오는 점을 따와서 하단 부분에 '때로는 쉼도 필요해'와 쉼표를 넣었습니다.
글자들의 경우 나눔 폰트? 인가(기억이 잘 안 납니다)를 사용하였고, made by gogomaker는 여하튼 저작권 문제에는 걸리지 않는 폰트 사용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쉼표는 직접 인터넷의 쉼표 일러스트를 보고 따라 그리고, 다듬었습니다.
한글시계 판 바깥은 외부 케이스와 조립된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결속되기 위해) 지그재그로 설계하였고, 중간중간에 있는 사각형의 경우, 뒤의 판과 결합하기 위한 구멍입니다(가장 밑에서 참고)
판의 디자인에 가장 많은 시간을 쏟아부었고, 판 디자인은 1차 디자인 후 레이저 커팅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한 후 2차로 재설계한 것이 현재 사용하는 한글시계 판입니다.
※레이저 커팅할 때, 자신의 레이저커팅기의 레이저 두께와 기타 설정 등을 잘 알아보고 만드시길 바랍니다.
※글씨의 경우 상당히 얇기에, 레이저커팅기의 레이저 두께가 조금만 두꺼워도 글씨가 제대로 새겨지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한글시계 내부 디자인
한글시계 내부 디자인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LED의 빛이 다른 곳으로 새 나가지 않게 할 칸막이, LED의 빛을 부드럽게 만들어 줄 디퓨저* 이렇게 2개가 있습니다.
*디퓨저: 강한 빛을 부드럽게 확산시켜주는 장치
칸막이의 각각의 칸은 LED의 위치에 맞게 만들었습니다. 벽은 2T이며, 빛을 가리는 역할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검은색 PLA 필라멘트, 채움 100%로 제작했습니다.
위쪽을 보면 작은 직육면체가 5개 튀어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통하여 디퓨저와 한글시계 판이 보다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됩니다.
밑의 설계를 보게 되면, 가로로는 길게 튀어나와 있고, 세로로는 일정하게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네오픽셀이 지나가는 자리를 만들기 위함입니다.
디퓨저는 그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 칸막이와 시계판 사이에 흰색 PLA 필라멘트로 1T 두께로 제작했습니다.
(흰색이 아니라면 색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흰색을 사용해 주세요!)
3. 한글시계 외부 케이스 디자인
한글시계 외부 케이스는 한글시계의 모든 것들이 안에 들어가야 하기에 잘 설계했습니다(...)
우선, 상단에 한글시계 판이 위에 고정되도록, 홈 모양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하단은, 칸막이가 들어갈 수 있게 설계하였습니다. 그리고 좌우로는 네오픽셀을 연결한 선을 위한 공간이 또한 필요하기에, 그것 또한 생각하여 설계하였습니다.
케이스 바닥을 보게 되면, 구멍이 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저 구멍으로 네오픽셀 선이 나가게 됩니다.
4. 한글시계 받침 디자인
마지막으로 한글시계 받침대는 갑자기 설계한 거라 그다지 질이 좋지는 않습니다...
다 완성해 놓고 보니 각을 좀 주는 게 좋을 것 같아 급하게 설계하게 되었습니다.
중간의 수직으로 파여 있는 부분이 한글시계가 들어가는 부분이고, 위로 튀어나온 것은 한글시계의 뒤쪽을 받혀주게 됩니다.
한글시계이기에, 나랏말싸미를 새겼고, 양 옆으로 '한글'의 초성인 ㅎ, ㄱ을 새겼습니다.
5. 전체적으로
이런 식으로 조립이 됩니다.
-결론
이상 고고메이커였습니다.
다음 글에서 만나요~!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나 궁금한 점 있으시다면 댓글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설계 파일@
'메이킹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시계v1 제작기 5. 향후 개선점(Ver.2, Ver.3) (0) | 2021.02.11 |
---|---|
한글시계v1 제작기 4. 소프트웨어 구현 (0) | 2021.02.11 |
한글시계v1 제작기 3. 하드웨어 구현 (0) | 2021.02.10 |
한글시계v1 제작기 1. 프로젝트 소개 (2) | 2021.02.08 |